매일 공부 Day 25
매일 공부 Day 25:
오늘 Werstern Europe 의 지형적 조건이 주는 경제적, 정치적 양향에 대한 장을 마무리 했네요. 긴 역사와 미묘하고 복잡하게 밀집되어 있는 여러 나라의 관계를 이해하기엔 20페이지는 터무니 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드네요. 이장의 마무리는 이렇게 하네요. " For those who didn't live through tis themselves and who especially now in the crisis are asking what benefirs Euorpe's unity brings, the answer despite the unprecedented European period of peace lasting more than 65 years and despit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we must still overcome is: peace." 그러네요. 평화를 위지하는게 모두에게 좋은거 겠죠.
https://ed.stanford.edu/news/getting-read-low-literacy-scores
이번 article은 reading education에 중요한 점을 말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아이들의 reading 교육에 문제 점이 많이 애기 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reading level이 많이 낮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교육시키는게 맞는 거냐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도 대립되고요. 한쪽에서는 whole language approach가 좋다고 하고 다른 쪽에서는 phonics approach가 아이들의 reading에 효과 적인 학습 방법이라 주장하지요.
"The disagreement has a lot of layers to it, but,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re are essentially two camps in what’s become known as the “reading wars." One camp says that reading should be taught by a phonics approach, where you’re focused on decoding words based on their spelling, breaking them up into letters and sounds. The other camp focuses on a whole language approach, where you’re teaching kids to look at entire words and figure out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full sentences, using other words and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xt as cues."
이 Article에서는 아이들의 성향과 상황 또한 언어 습득 능력에 따라 습득 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아이에 맞게 교육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 합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교사들의 교육도 중요하다고 애기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교사들도 reading education에 관해 제대로 교육 받은 교사들이 그리 많지 않거든요. 그래서 저도 reading eucation certificate program 을 교사 자격증을 딴 후인 지금 또 공부 하고 있고요. 지금 교사 이지만, 제가 reading 교육에 관해 잘 지도 할 수 있는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