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공부 Day 13카테고리 없음 2020. 4. 28. 03:43
매일 공부 Day 13:
이제 공부 13 일 째다. 매일 공부 하기가 힘든 나에게 블로그를 하며 그래서 이제 13일째 매일 하게 되 뿌듯하다. 집에서 일하게되며 한것중 제일 잘 한거 같다. 앞으로 더 하고 싶은게 있는데... 자꾸 미루지 말고, 시작해야 할거 같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 진리이다.
우선 오늘도 Atomic Habits 읽고 돌아 오겠습니다. 오늘은 어떤 좋은 방법을 제시해 줄지 궁금하네요.
오늘은 chapter 15 에서 조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선, 우리가 선택한 행동에서을 통해 만족을 얻어야 그 행동이 습관으로 되는데, 문제는 인간들은 나중에 돌아오는 이익보다는 순간의 이익에 의해 선택을 한다는데 문제라고 애기하네요. 우리는 살 찌는 거 알면서도, 맛있는 디저트를 거부 하기가 너무 힘들고, 매일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면 언젠가는 실력이 좋아 진다는 거 알지만, 당장 쉬고, 노는게 우리에게 만족을 주기 때문에 몇년 후의 더 큰 만족을 쉽게 포기 하게 됩니다.
이번 장에선 우리는 우리에게 진짜 유익한걸 머리로는 알지만, 행동으로 실천 못하는 이유는 좋은 습관의 만족은 당장 우리에게 오는 게 오랜 시간이 지나 오기 때문이라는 거죠. 그래서 좋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 작은 상이라도 눈에 보이는 상을 주라고 하네요.
근데, 쉽지 않네요. 생각이 잘 안나요... 생각해 보고 저도 매일 공부 후 작은 상을 저한테 줘야 할거 같네요. 365일 까지 가지 위해서^^.
"People who are better at delaying gratification have higher SAT scores, lower levels of substance abuse, lower likelihood of obesity, better responses to stress, and superior social skills." (190)
------------------- -------------------- ---------------------- ------------------
Harvard Business Review article 읽기 싫고 당장 나 한테 만족을 주는 게 없지만, 오늘 Atomic Habits 에서 배운 걸 생각 하며 빨리 끝내야 되겠죠.
https://hbr.org/2020/04/reinventing-your-career-in-the-time-of-coronavirus
오늘 읽은 기사에서도 좋은 걸 배웠네요. 요즘 코로나 바이러니로 인해 세계에 많은 사람들이 집안에서 있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네요. 우리가 예전에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이런 상황에 많은 이들이 일자리도 잃고, 너무 힘들고 불화가실 한 상황이지만, 어떻게 생각해 보면 어느 때 보다도 우리에게 많은 여유 시간이 주어진 상황 입니다. 글쓴이는 자신이 설문 조사 한 결과 2000명중 50%가 지금니 새로운 것을 시작하거나, 배우기에 아주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고 하네요. " I recently conducted an online poll asking participants to describe how they’re responding to the coronavirus crisis, and 50% of the 2000 people who responded reported that it has given them 'opportunities to try new things or learn new skills.' In some cases, these new skills are directly related to working remotely. That’s certainly been the case for me: Like most of my faculty colleagues, I’ve had to quickly learn to teach online."
저도 그렇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온라인 teaching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많이 배울 수 있었구요.
계속 미루던 티스토리도 시작했고, 한가지 더 하고 싶은데 있는 데... 자꾸 미루고만 있는 데 4 월이 가기 전에 시작할게요 그리고 뭔지 알려드릴게요.
이 article 에서 또 중요하다고 애기하는 건, 지금까지 가까이 하지 않았던 새로운 관계를 통해 지금까지 몰랐던 걸 발전 시킬 수있을 거라 애합니다. 우리의 가족, 친구, 가까운 동료들도 우리을 도와주기 원하지만, 문제는 그들은 우리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 확율이 많고 그러무로 우리가 창의력이 생기게 도와주기 힘들다고 말합니다. 이 부분을 읽다 재미있는 단어를 하나 배웠어요 "pigeonhole"
* pigeonhole: put aside for future consideration. (ex: "she pigeonholed her worry about him.")
The golden rule of networking for career change has always been to mobilize your weak ties — that is, the relationships you have with people you don’t know so well or don’t see very often, in order to maximize your chances of learning things you don’t know already. The problem with friends, family, and close coworkers — your strong ties — is that they know the same things you know. They’ll want to help you, of course, but they’re unlikely to be able to help you think creatively about your future. It’s more likely that they’ll pigeonhole you.
------------------------ ------------------------- -------------------------
British Countil English 에서 영어 공부하면 오늘 영어 공부 성공~~ 빨리 하고 돌아 올게요.
다 하고 왔네요. 하루에 매일 1;30 정도 이렇게 공부 하고 있는 데, 아직 결과는 안 보이지만 월래 좋은 습관은 "delayed-rewards" "People who are better at delaying gratification have higher SAT scores, lower levels of substance abuse, lower likelihood of obesity, better responses to stress, and superior social skills." (190) Atomic Habits 에서 읽은 걸 생각하면 꾸준히 해야겠죠.
오늘 매일 공부가 빨리 끝나 좋네요.. 이제 따른 할 일에 집중 할 수 있겠네요. 그럼 내일 뵈요.